제주, 농어업유산 국제 교류 중심에 서다
▶ 제9회 동아시아 농어업유산협의회(ERAHS) 국제컨퍼런스 성황리 종료
▶ 한·중·일 3개국 250여 명 참석…42개 세션 발표와 약 80개 포스터 발표
▶ 제주 밭담과 해녀의 가치, 동아시아 홍보 교류의 장에서 큰 호응 ‘눈길’
□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관광공사(사장 고승철)는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제주오리엔탈호텔에서 열린 제9회 동아시아 농어업유산협의회(ERAHS) 국제컨퍼런스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21일 밝혔다.
□ 동아시아 농어업유산협의회 국제컨퍼런스는 2014년부터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개최하고 있는 농어업유산 분야의 대표 학술행사다. 이번 제주에서 개최된 컨퍼런스에는 3국의 정부·지자체 관계자, 연구자 등 220명이 참석해 의미를 더했다.
○ 제주는 밭담(2014년 등재)과 해녀어업시스템(2023년 등재) 등 농업과 어업 2개 분야에서 세계중요농업유산을 보유한 지역이다. 이에, 도와 공사는 본 컨퍼런스 개최를 통해 제주 전통 농어업과 공동체 문화의 가치를 대외적으로 보여주는 한편, 보전과 활용을 위한 국제적 논의를 이어갔다.
□ 컨퍼런스는 ‘중요 농어업유산의 지속 가능한 보전과 공동체 복원’을 주제로 3일에 걸쳐 진행됐다. 이 기간 ▲생태계 서비스와 보전 ▲생산물 인증·브랜드·홍보 ▲한국·중국·일본 정책 비교 ▲관광과 지역 공동체 ▲후계 세대 및 이해관계자 참여 ▲어업 유산 보전과 공동체 관리 등 6개 주제 세션을 통해 동북아 3개국 농어업 유산에 대한 보전과 활용 방안이 논의됐다.
□ 또한, 한국·중국·일본 연구자들을 비롯해 국내·외 지자체들이 각자의 농어업유산을 알리는 약 80점의 포스터에 대한 발표와 전시도 이어졌다.
○ 다양한 농어업주제를 바탕으로 △한국 43개 △중국 24개 △일본 11개의 포스터가 전시된 가운데 참가자들은 이를 통해 학술적 교류를 나누는 등 농어업의 가치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 도와 공사는 컨퍼런스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제주 돌문화공원, 해녀박물관, 숨비소리길, 질그랭이센터 등을 방문해 제주 밭담과 해녀 어업문화를 직접 둘러보는 현장 견학 프로그램도 진행했다. 이곳 가운데 질그랭이센터를 찾은 참가자들은 주민 주도로 농어업유산을 활용하고 있는 모범적인 사례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큰 호응을 보냈다.
○ 아울러 컨퍼런스 참가자들은 제주시 구좌읍에서 열린 제주해녀축제에도 참가, 지역 주민들과 함께 해녀 문화를 기념하고 축하하는 시간을 가지기도 했다.
□ 이와 관련, 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금번 국제컨퍼런스 개최를 통해 제주 밭담과 해녀어업시스템 등 제주의 세계중요농업유산을 널리 알릴 수 있었다”며 “공사는 앞으로도 제주 농어업유산을 기반으로 융복합 관광을 발전시켜 지속 가능한 제주 관광을 견인하겠다”고 말했다.